대한제국 시절, 일본의 반강제적으로 제공된 1,300만원의 빚을 갚기 위해 대구에서 시작해 전국으로 확산된 모금 운동. 이후 중국, 멕시코, 베트남의 국채보상운동에 영향을 끼쳤으며 이 내용을 보여주는 기록물 중 핵심이 되는 2,475건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공식 등재
유네스코 음악 창의도시 선정 (창의유산 : 음악)
대구는 유네스코 선정 ‘음악 창의 도시‘이자,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에 가입. 한국 최초의 음악감상실 ‘녹향’이 문을 열었으며, 국내 최초로 피아노가 유입된 명실상부한 한국근대음악의 태동지이자 글로벌 문화예술도시
석가탑
경주
양동마을 (세계문화유산)
조선시대 전통문화와 자연을 고스란히 간직한 한국 최대 규모의 마을. 국보, 보물, 민속자료 등 많은 문화재를 보존하여 마을 전체가 문화재로 지정
경주 역사 유적 지구 (세계문화유산)
조각, 탑, 왕릉, 산성 등의 신라 시대 불교 유적과 생활 유적 집중 분포 지역으로 7세기부터 10세기 사이의 신라 고유의 탁월한 예술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장소
불국사&석굴암 (세계문화유산)
고대 불교예술의 최고 걸작 중 하나로 평가 받는 유산인 불국사의 석조 기단 및 두 개의 석탑과 석굴암 조각
하회마을
안동
하회마을 (세계문화유산)
우리나라 고유의 건축 양식이 잘 보존되어 있는 마을 곳으로 하회 마을 북촌의 양진당과 복촌댁, 남촌의 충효당과 남촌댁, 원지정사, 하동 고택 등 대표적 전통 건축물을 보유한 마을
봉정사 (세계문화유산)
고려시대 공민왕 12년의 1363년에 극락전을 중수 하였다는 기록이 발견되며, 국내 현존하는 최고의 목조건물로 인정된 사찰
유교책판 (세계기록유산)
책을 간행하기 위해 판각한 책판으로, 각 지역 여러 문중과 서원에서 시대를 거듭하며 기탁한 ‘공동체 출판‘이라는 독특한 특징과 유교의 인륜 공동체 실현이라는 주제를 담음
부석사
영주
부석사 (세계문화유산)
한국 전통 산사의 아름다움과 역사성을 인정받아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이라는 이름으로 세계유산에 등재. 현재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인 무량수전을 포함하여 5개의 국보와 3개의 보물을 소장한 사찰
청송세계지질공원
청송
청송세계지질공원 (세계지질공원유산)
과학적 중요성, 희귀성, 아름다움, 교육적 가치 등을 인정받아 국내에서 제주도에 이어 두번째로 청송군 전체가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등재. 청송군 신성리에서는 공룡 발자국이 발견되었으며, 퇴적암 등 다양한 화석이 분포되어 있는 지역
해인사 장경판전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세계문화유산)
13세기에 제작된 팔만대장경을 봉안하기 위해 지어진 목판 보관용 건축물. 주불전 뒤 언덕 위에 세워진 단층 목조건물로 처음부터 대장경 보관의 목적으로 건축되어 창건 당시의 원형이 그대로 보존되어있으며, 15세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 대장경 자체도 중요한 기록유산이나 판전 또한 매우 아름다우며 높은 건축사적 가치를 지님. 많은 큰스님들이 배출된 곳이며, 관광객에게 큰스님들의 가르침을 경험할 수 있는 템플스테이를 제공하는 한국 불교 대표 사찰
SHARE THIS
All services are under the responsibility of the KOREA GAS UNION
KOREA GAS UNION
Chairman : Hee-Bong Chae
Address : 316, Bongeunsa-ro, Gangnam-gu, Seoul, Republic of Korea
Corporate registration number : 120-82-01707